권동휘, 윤지수 연구원, 무정형의 TiO2를 이용한 리튬 폴리설파이드 제어
작성자
moonlab
작성일
2023-03-06 17:40
조회
97
우리 연구실의 권동휘, 윤지수 연구원이 “Advanced Science(IF: 16.806, JCR 상위 6.09%)”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기존 양극에 사용하던 설파이드 종류에 대한 흡착제는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뿐만 아니라, Li2S에 대한 흡착도 강하기 때문에 표면에 Li2S의 부동화가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무정형의 titanium suboxide를 사용해서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은 강하게 하고, Li2S에 대한 흡착은 상대적으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리튬황 배터리 양극에서 흡착제로 적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높은 변환율, 높은 황 활용도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리튬황 배터리의 상용화를 가속화 시켰음에 의의가 있습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1002/advs.202200958
기존 양극에 사용하던 설파이드 종류에 대한 흡착제는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뿐만 아니라, Li2S에 대한 흡착도 강하기 때문에 표면에 Li2S의 부동화가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무정형의 titanium suboxide를 사용해서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은 강하게 하고, Li2S에 대한 흡착은 상대적으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리튬황 배터리 양극에서 흡착제로 적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높은 변환율, 높은 황 활용도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리튬황 배터리의 상용화를 가속화 시켰음에 의의가 있습니다.

▲ 무정형 TiOx와 기존의 흡착제 비교
관련 논문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1002/advs.202200958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