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w
-
연구실 전기화학 촉매 반응기,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전시
2023.05.25우리 연구실의 전기화학 촉매 반응기를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전시하였습니다. http://www.wce.or.kr/2023/main/index_kor.asp -
제19회 한일촉매 심포지엄 참석
2023.05.25김철호 박사가 5월 15일 ~ 17일에 진행된 제19회 한일촉매 심포지엄에 참석해서 "Metal oxide-based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partial oxidation of methane"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언론보도] 서강대, 리튬 배터리 전극용 메조 다공성 탄소소재 개발
2023.05.04서강대 문준혁 교수님 연구팀이 메조다공성 탄소 소재를 합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였고, 해당 성과는 저명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IF : 12.779)에 게재되었습니다. 문준혁 교수님은 '메조다공성 탄소를 간단하고 손쉽게 합성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 흡착제, 촉매 지지체 및 배터리 전극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전했습니다. 관련 링크 :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837464?sid=102 -
2023 MRS Meeting 참석 및 발표
2023.04.14문준혁 교수님이 2023 MRS Spring meeting (4/10 - 4/14)에서 우리 연구실의 리튬-황 전지 연구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
2023 한국전기화학회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참석
2023.04.122023. 04. 05 ~ 04. 07 우리 연구실 전원이 4월 5일 ~ 7일에 진행된 2023년도 한국전기화학회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에 참석하였습니다. 본 학술발표회에서 김준민 석사과정 연구원은 "Nanorod-based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2023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
2023.04.122023.04.05 이해리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 백승준 석사과정 연구원이 2023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 방문하였습니다. 이해리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이 'A Novel Method to Create Porous Structures in Polymer Carbonization'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
김철호 박사, 2023년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2023.04.11김철호 박사가 2023년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
교수님, 삼성전자 SAIT(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초청 강연
2023.04.03문준혁 교수님이 4월 3일 삼성전자 SAIT에서 전기화학 메탄 전환 기술에 대한 주제로 초청 강연을 하셨습니다. -
[언론보도]서강대 문준혁 교수팀, 상온에서 메탄을 알코올로 전환하는 촉매 기술 개발
2023.03.27관련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kV6_KrYOjwo -
배터리 관련 박람회 '인터배터리 2023' 참석
2023.03.172023.3.16 이해리, 백승준, 엄경식, 오경현, 염세기 연구원이 서울 코엑스에서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열린 국내 최대규모 이차전지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 참석했습니다.
Research Spotlights
-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재현 석사과정 연구원, 양극 흡착능에 따른 Li2S 성장 제어 연구
2023.03.06우리 연구실의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재현 석사과정 연구원이 “Advanced Science (IF: 17.52, JCR 상위 6.08%)"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Li2S 모폴로지가 리튬-황 배터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산화물 양극의 흡착능에 따른 Li2S 성장 메커니즘을 연구하였습니다. 코발트 기반 삼원계 산화물(ternary oxide) 중 LiPS에 적당한 친화력을 보이는 MnCo2O4를 이용해 Li2S 3D 성장을 확인하였습니다. 반면, 친화력이 약하거나 강한 산화물인 경우 표면의 부도체화를 일으키는 2D 성장으로 이어져 성능이 저하됩니다. 결과적으로, MnCo2O4 기반 양극에서 우수한 용량을 달성하였고, 높은 황 담지 조건에서도 높은 셀 성능을 확인하였습니다. -
김철호, 민희원, 김준민, 설지원, 양지우 연구원, NiO/ZnO 헤테로 접합 나노로드 촉매를 이용한 메테인 전환
2023.03.06우리 연구실의 김철호, 민희원, 김준민, 설지원, 양지우 연구원이 “Applied Catalysis B(IF: 21.41, JCR 상위 1.85%)”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현재, 낮은 온도에서 촉매 작용을 통해 메테인을 부분적으로 산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촉매의 전기적인 특성이 중요합니다. 우리 연구팀은 NiO/ZnO 헤테로 접합 나노로드 촉매로 효율적인 전기화학적인 메테인 전환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전기화학적인 메테인 산화에 사용되는 촉매에서의 전자 띠 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NiO/ZnO 나노로드 촉매의 구조 관련 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26337322010700 -
권동휘, 윤지수 연구원, 무정형의 TiO2를 이용한 리튬 폴리설파이드 제어
2023.03.06우리 연구실의 권동휘, 윤지수 연구원이 “Advanced Science(IF: 16.806, JCR 상위 6.09%)”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기존 양극에 사용하던 설파이드 종류에 대한 흡착제는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뿐만 아니라, Li2S에 대한 흡착도 강하기 때문에 표면에 Li2S의 부동화가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무정형의 titanium suboxide를 사용해서 리튬 폴리설파이드에 대한 흡착은 강하게 하고, Li2S에 대한 흡착은 상대적으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리튬황 배터리 양극에서 흡착제로 적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높은 변환율, 높은 황 활용도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리튬황 배터리의 상용화 -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과 양지우 석사과정 연구원, CuO/CeO2 전기화학 촉매를 이용한 메탄 산화 연구
2022.05.30우리 연구실의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과 양지우 석사과정 연구원이"ACS Energy Letters” journal지(IF: 23.101, JCR 상위 3.3%)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메탄 전환을 위해 고온 고압의 반응 조건이 요구되어 메탄의 완전 산화로 인해 생성물의 선택도가 낮아지는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우리 연구팀은 CuO/CeO2 촉매를 적용하여 실온에서의 메탄 전환을 통해 높은 생성량과 선택도를 달성했습니다. 또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낮은 전압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친환경공정을 달성했다는 의의를 가집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10.1021/acsenergylett.0c02553 -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태영 석사과정 연구원,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전해질 도니시티와 양극 흡착능 연구
2022.05.17우리 연구실의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태영 석사과정 연구원이 “small” journal지(IF: 13.281, JCR 상위 8.64%)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전해질의 도니시티와 산화물 양극의 흡착능이 리튬-황 배터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강흡착, 약흡착 양극에서의 LiPS 흡착과 3D Li2S 성장 매커니즘을 연구하였습니다. 약흡착 양극에 반하여, 강흡착 양극에서는 전해질염인 NO3- 막 형성으로 LiPS 흡착과 Li2S 전환의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위의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약흡착 양극에서 강흡착 양극 대비 25% 이상의 용량 증가를 확인하였습니다. ▲ 강흡착, 약흡착 기판에서의 LiPS 흡착, Li2S 성장 매커니즘 관련 논문 링크: https://o -
권동휘, 김태영, 이정연 연구원,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야누스 입자 개발
2022.05.17권동휘 연구원이 nano energy 논문 개제 하였습니다. 차세대 리튬 전지로 불리는 리튬-황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5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녔으나, 부도체 특성을 가지는 Li2S의 무작위적인 성장이 황의 완전한 전환을 제한합니다. 연구팀은 MoO3/CNT 야누스 입자를 통해 Li2S의 성장을 조절하였습니다. Li2S의 성장이 제어된 전극은 이온과 전하의 확산 경로가 유지되기 때문에 높은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도 높은 용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충전 및 방전 중에 상 변화가 일어나는 리튬폴리설파이드 제어를 통해 리튬-황 전지의 반응 속도와 가역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습니다. ▲ 야누스 입자 개략도 ▲ 제어된 Li2S 성장 ▲ 높은 충/방전 속도에서의 리튬-황 배터리 수명 평가 관련
Life
-
2023년 스승의날
2023.05.25스승의날을 맞아 교수님께 특별한 선물을 준비하였습니다. 항상 학생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2023년 봄 연구실 제주도 MT
2023.04.12봄을 맞아 연구실 MT를 제주도에서 진행하였습니다. 모두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
교수님의 생신을 축하드립니다.
2023.03.083월 9일 교수님의 생신을 맞이해서 가벼운 축하 파티를 가졌습니다. 교수님의 생신을 축하드립니다! -
2023년 봄 학기 학부연구생
2023.03.062023년 봄 학기 학부연구생입니다. 환영합니다! -
2022년 겨울 학부연구생
2022.12.232022년 겨울 학부연구생들(강명성, 김태완, 김혜인, 송재민, 염세기, 윤지희, 이진영, 한태웅)과 식사하였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2022년 여름 학부연구생
2022.07.202022년 여름 학부연구생입니다. 안녕하세요, 에너지 소재 X 소자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게 된 김태완, 김혜인, 윤지희입니다. 학부 생활 동안 다양한 전공심화 과목을 수강하며 에너지 소재 및 소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문준혁 교수님과의 면담을 통해 최근 연구실에서 출판된 논문을 리뷰하며 해당 분야 연구에 대한 열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교수님께서 좋은 기회를 주신 덕분에 학부연구생으로 실험과 더불어 다양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도움 주신 문준혁 교수님과 사수 선배님, 그리고 모든 연구실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좋은 기회 주신 만큼 적극적으로 학부연구생 생활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5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2.05.122022년 5월 12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방문
2021.05.17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해운대 엘시티 전망대)에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3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1.03.262021년 3월 25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논문작성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아요!
2021.03.15평소 궁금했던 논문작성과정, 선배들로부터 직접 들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