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w
-
David Pine (New York Univ.) 교수님 연구실 방문
2022.07.18NYU 화공생명공학과에 계신 Pine 교수님께서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탄소 콜로이드에 대한 우리 연구실 최신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조언을 들었습니다. 교수님과 을밀대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광장시장에 방문했습니다. -
엄경식 석사과정이 새로 입학하였습니다!
2022.07.18안녕하세요, 에너지 소재 X 소자 연구실에 입학하게 된 엄경식 학생입니다. 군 복무를 마치고 진로에 대해 고민하던 중 에너지 소재 X 소자 연구실에 대해 알게 되었고 최근 출판된 연구실의 논문을 읽으며 배터리 분야에 대해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의지가 생겼습니다. 이 과정에서 친절하게 또 세심하게 연구실과 진로에 대해 상담해주신 문준혁 교수님께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유능하신 교수님의 지도 아래 친절하시고 밝은 연구실 선배님들이 계시기에 함께 즐겁고 성과있는 연구실 생활을 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1 가스 리파이너리 심포지엄 참석
2022.07.142022. 07. 06 ~ 07. 08 우리 연구실 전원이 7월 6일 ~ 8일에 진행된 C1 가스 리파이너리 심포지엄에 참석하였습니다. -
연구실 C1사업단 홍보영상
2022.06.13https://youtu.be/WbRM9f2l8fE 연구실 C1사업단 홍보영상입니다. -
이재현 박사, 2022년 한국화학공학회 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2022.06.08이재현 박사가 2022 한국화학공학회 봄 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
2022년 포항 가속기 연구소 방문 및 분석 진행
2022.05.192022. 05. 17. ~ 05. 18. 설지원, 박준수, 김준민 석사과정 연구원, 민희원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이 포항 가속기 연구소에 방문하여 XAFS 분석 진행하였습니다. -
2022 봄 총회 및 학술대회 참석
2022.04.222022. 04. 22 문준혁 교수님과 이재현 박사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2년도 봄총회 및 학술대회에 참석했습니다. -
에너지 소재 x 소자 연구실
2022.01.21에너지 소재 x 소자 연구실 홍보영상입니다. -
이재현 박사과정 및 김철호 박사과정이 박사학위 논문심사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2022.01.06이재현 박사과정은 '전기화학 촉매'의 주제로, 김철호 박사과정은 '3D 탄소 패턴'의 주제의 연구 결과로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최종 통과했습니다. 축하합니다! -
이재현 박사과정 2021 MRS Fall meeting Best Poster Award 노미네이트
2021.12.08우리 연구실 이재현 박사과정이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2021 MRS Fall Meeting 에서 "상온 메탄 전환"에 대한 연구 발표로 Best Poster Award에 nomination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Research Spotlights
-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과 양지우 석사과정 연구원, CuO/CeO2 전기화학 촉매를 이용한 메탄 산화 연구
2022.05.30우리 연구실의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과 양지우 석사과정 연구원이"ACS Energy Letters” journal지(IF: 23.101, JCR 상위 3.3%)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메탄 전환을 위해 고온 고압의 반응 조건이 요구되어 메탄의 완전 산화로 인해 생성물의 선택도가 낮아지는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우리 연구팀은 CuO/CeO2 촉매를 적용하여 실온에서의 메탄 전환을 통해 높은 생성량과 선택도를 달성했습니다. 또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낮은 전압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친환경공정을 달성했다는 의의를 가집니다. 관련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10.1021/acsenergylett.0c02553 -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태영 석사과정 연구원,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전해질 도니시티와 양극 흡착능 연구
2022.05.17우리 연구실의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태영 석사과정 연구원이 “small” journal지(IF: 13.281, JCR 상위 8.64%)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전해질의 도니시티와 산화물 양극의 흡착능이 리튬-황 배터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강흡착, 약흡착 양극에서의 LiPS 흡착과 3D Li2S 성장 매커니즘을 연구하였습니다. 약흡착 양극에 반하여, 강흡착 양극에서는 전해질염인 NO3- 막 형성으로 LiPS 흡착과 Li2S 전환의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위의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약흡착 양극에서 강흡착 양극 대비 25% 이상의 용량 증가를 확인하였습니다. ▲ 강흡착, 약흡착 기판에서의 LiPS 흡착, Li2S 성장 매커니즘 관련 논문 링크: https://o -
권동휘, 김태영, 이정연 연구원,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야누스 입자 개발
2022.05.17권동휘 연구원이 nano energy 논문 개제 하였습니다. 차세대 리튬 전지로 불리는 리튬-황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5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녔으나, 부도체 특성을 가지는 Li2S의 무작위적인 성장이 황의 완전한 전환을 제한합니다. 연구팀은 MoO3/CNT 야누스 입자를 통해 Li2S의 성장을 조절하였습니다. Li2S의 성장이 제어된 전극은 이온과 전하의 확산 경로가 유지되기 때문에 높은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도 높은 용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충전 및 방전 중에 상 변화가 일어나는 리튬폴리설파이드 제어를 통해 리튬-황 전지의 반응 속도와 가역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습니다. ▲ 야누스 입자 개략도 ▲ 제어된 Li2S 성장 ▲ 높은 충/방전 속도에서의 리튬-황 배터리 수명 평가 관련 -
권동휘 박사과정 연구원,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황 담지기술 개발
2020.11.26권동휘 박사과정이 미국과학원회보 (PNAS) 논문 개제 하였습니다. 경량화에 용이한 차세대 리튬전지로 각광받고 있는 리튬-황 전지의 양극은 황의 낮은 전기전도성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전도도의 탄소와 혼합한 형태로 제작합니다. 특히 탄소의 미세기공에 황을 균일하고 안정하게 담지하는 기술은 전지의 성능에 결정적입니다. 연구팀은 황이 탄소표면에 낮은 부착력(adhesive force)을 나타내기 때문에 황을 미세기공에 넣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에 착안하여 황의 부착력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황을 녹인 용액에 탄소와 높은 부착력을 갖는 용액을 첨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황과 탄소의 부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부착력 제어’ 기술에 의해, 미세기공 껍질을 갖고 -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 리튬-황 전지를 위한 고밀도 전극 기술에 관한 연구논문 게재
2020.11.26이재현 박사과정이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journal지에 논문 개제 하였습니다. 기존 리튬-황 배터리 연구에서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실용적인 소자 적용을 위한 중요한 측정 기준인 Tap density를 간과 해왔습니다. 우리가 제작한 다면체 TiO2 입자는 상업적 TiO2보다 약 6배 높은 탭밀도를 가지며, 높은 패킹 밀도로 인한 향상된 모세관 작용으로 황 침투를 개선하였고 균일한 황복합전극을 형성하였습니다. 탭밀도가 높은 다면체 TiO2 전극은 희박한 전해질 조건에서의 구동 및 높은 체적 용량을 통해 리튬-황 전지의 안정적인 작동을 나타내어, 상업적 재료로서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 다면체 TiO2 입자 합성 개략도 ▲ 희박 전해질에서의 리튬-황 배터 -
권동휘, 황정태, 윤지수 연구원, 리튬-황 전지를 위한 구형 CNT 입자 전극 소재 개발
2020.02.24권동휘 박사과정, 윤지수 학부연구생, 황정태 석사과정 (현, SK 이노베이션 중앙연구소 전지개발팀)이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 8.355, SCI 상위 3.986%)지에 논문 게재하였습니다. 리튬-황 전지에 사용되는 황은 부도체에 가까운 전기전도로를 갖고 있어서, 탄소 전극에 균일하게 코팅하는 것이 중요함.연구팀은 '접촉각 제어'를 통해 미세하게 황입자를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음. 결과적으로 기존 리튬-이온 전지의 용량을 상회하는 전지를 개발하였음. 관련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385894720305398?via%3Dihub
Life
-
2022년 여름 학부연구생
2022.07.202022년 여름 학부연구생입니다. -
5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2.05.122022년 5월 12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방문
2021.05.17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해운대 엘시티 전망대)에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3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1.03.262021년 3월 25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논문작성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아요!
2021.03.15평소 궁금했던 논문작성과정, 선배들로부터 직접 들어보아요! -
우수취업자 졸업생 인터뷰
2020.09.21우수취업자 졸업생인 SK이노베이션 황정태, 한화케미칼 정민재,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남성경 졸업생의 인터뷰입니다. -
2020년 2학기 문준혁 교수님 연구실 신입생 인터뷰
2020.09.172020년 2학기 문준혁 교수님 연구실에 새로 입학하게 된 김태영, 설지원 신입생 인터뷰입니다. -
2020년 2학기 연구실 인턴 인터뷰
2020.09.17대학원 튜토리얼! 문준혁 교수님 연구실 인턴 중인 화공생명공학과 김재현, 박준수 학생 인터뷰